재해 사례 연구 순서 |
하인리히 도미노 이론 |
버드의 신 도미노 이론 |
아담스의 이론 |
전제조건:재해상황의 파악 |
1. 사회적환경과 유전적인요소 |
1. 통제부족(관리) |
1. 관리구조 |
1. 사실의 확인 |
2. 개인적 결함 |
2. 기본원인(기원) |
2. 작전적 에러 |
2. 문제점의 발견 |
3. 불안전한행동+불안전한상태 |
3. 직접원인(징후) |
3. 전술적 에러 |
3. 근본문제점의 발견 |
4. 사고 |
4. 사고 |
4. 사고 |
4. 대책수립 |
5. 상해 |
5. 상해 |
5. 상해 또는 손해 |
사고예방대책 5단계 |
재해 예방 4원칙 |
작업환경 개선 4단계 |
안전교육의 3단계 |
1. 안전관리조직 |
1. 예방가능의 원칙 |
1. 작업 분해 |
1. 지식교육 |
2. 사실의 발견 |
2. 손실우연의 법칙 |
2. 세부 내용 검토 |
2. 기능교육 |
3. 분석(분석평가) |
3. 원인연계의 법칙 |
3. 작업 분석 |
3. 태도교육 |
4. 시정방법(시정책)의 선정 |
4. 대책선정의 법칙 |
4. 새로운 방법의 적용 | |
5. 시정책의 적용 | |||
지식교육의 4단계 |
기능교육의 3원칙 |
기능교육의 4단계 학습법 |
태도 교육의 4원칙 |
1. 도입(준비) |
1. 준비 |
1. 학습의 준비 |
1. 청취한다. |
2. 제시(설명) |
2. 위험작업의 규제 |
2. 작업 설명 |
2. 이해, 납득시킨다. |
3. 적용(응용) |
3. 안전작업의 표준화 |
3. 실습 |
3. 모범을 보인다. |
4. 확인(총괄) |
4. 결과 확인 |
4. 평가한다. | |
학습 목적의 3요소 |
학습 정도의 4단계 |
교육훈련 평가의 4단계 |
안전심리 5대요소 |
1. 목표 |
1. 인지(to acquaint) |
1. 반응단계 |
1. 동기 |
2. 주제 |
2. 지각(to know) |
2. 학습단계 |
2. 기질 |
3. 학습정도 |
3. 이해(to understand) |
3. 행동단계 |
3. 감정 |
4. 적용(to apply) |
4. 결과단계 |
4. 습성 | |
5. 습관 | |||
Maslow의 욕구단계이론 |
Herzberg의 2요인 |
Alderfer의 ERG 이론 |
데이비스의 동기 부여 이론 |
1. 생리적 욕구 |
위생요인(회사정책과 관리, 개인상호관의 관계, 감독, 임금, 보수, 작업조건, 지위, 안전) |
생존욕구(Existence) |
인간의성과*물질적성과=경영성과 |
2. 안전 욕구 |
지식*기능=능력 | ||
3. 사회적 욕구 |
관계욕구(Relation) |
상황*태도=동기유발 | |
4. 인정 받으려는 욕구 |
동기요인(성취감,책임감,인정감, 성장과발전,도전감,일 그 자체) |
능력*동기유발=인간의 성과 | |
5. 자아 실현의 욕구 |
성장욕구(Growth) |
||
McGregor의 X,Y 이론 |
무재해 이념의 3원칙 |
무재해 운동의 추진 3기둥 | |
X 이론 |
Y 이론 |
무의원칙 |
최고 경영자의 엄격한 경영자세 |
인간불신감 |
상호 신뢰감 |
선취의 원칙 |
안전 관리의 라인화 |
성악설 |
성선설 |
참가의 원칙 |
직장 자주 활동의 활발화 |
인간은 원래 게으름. 남의지배 |
인간은 근면, 적극적, 자주적 | ||
물질욕구(저차적욕구) |
정신욕구(고차적욕구) | ||
명령통제에 의한 관리 |
목표통합, 자기통제, 자율관리 | ||
저개발국형 |
선진국형 | ||
위험 예지 훈련의 4단계 |
브레인 스토밍 4단계 |
TBM 5단계 |
인체 계측 응용의 3원칙 |
1. 현상파악 |
1. 비판금지 |
1. 도입 |
1. 최대 치수와 최소 치수 |
2. 본질추구 |
2. 자유분방 |
2. 점검 정비 |
2. 조절 범위 |
3. 대책수립 |
3. 대량발언 |
3. 작업지시 |
3.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설계 |
4. 목표설정 |
4. 수정발언 |
4. 위험 예측 |
|
5. 확인 | |||
동작경제의 3원칙 |
의자 설계의 원칙 |
부품 배치 원칙 |
위험 분류 |
1. 동작능 활용의 원칙 |
1. 체중 분포 |
1. 중요도의 원칙 |
category 1 파국적 |
2. 작업량 절약의 원칙 |
2. 의자 좌판의 높이 |
2. 사용 빈도의 원칙 |
category 2 중대, 위험성 |
3. 동작 개선의 원칙 |
3. 의자 좌판의 깊이와 폭 |
3. 기능별 배치의 원칙 |
category 3 한계적 |
4. 몸통의 안전 |
4. 사용 순서의 배치 |
category 4 무시 | |
안전점검의 5요소 |
FTA에 의한 재해사례연구순서 |
안전성 평가 6단계 |
위험성 분류 |
사람 |
1. top 사상의 선정 |
1. 관계자료의 작성준비 |
category 1 생명또는가옥의상실 |
도구(기계,장비) |
2. 사상의 재해 원인 규명 |
2. 정성적 평가 |
category 2 사명수행의 실패 |
원재료 |
3. FT도 작성 |
3. 정량적 평가 |
category 3 활동지연 |
방법 |
4. 개선 계획 작성 |
4. 안전 대책 수립 |
category 4 영향 없음 |
환경 |
5. 재해 정보에 의한 재평가 | ||
6. FTA에 의한 재평가 |
'기사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작업형 기계안전 기출문제 산업안전기사 (0) | 2018.05.02 |
---|---|
산업안전기사 추락등 재해사고 (0) | 2018.04.29 |
산업안전기사 작업형 기계 기구에 의한 위험방지 (0) | 2018.04.28 |
산업안전기사 요점정리 안전교육 심리 (0) | 2018.04.27 |
소음진동기사 용어 정리 (0) | 2018.04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