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계 기구에 의한 위험방지
타워크레인
▣ 타워크레인을 이용하여 철제 비계를 운반도중에 재해가 발생한 사례이다. 재해발생 원인 중 타워크레인 운전시 어떤 안전작업방법을 준수하지 않아 발생한 사례인지 쓰시오.(택 3)
① 신호수를 배치하지 않았다.
② 무전기 등을 사용하여 신호하거나 일정한 신호방법을 미리 정하지 않았다.
③ 권상하중을 작업자 위로 통과시키면 안된다.
④ 유도(보조)로프를 설치하지 않았다.
⑤ 크레인 작업반경 밖의 적당한 위치에서 하중을 내려놓기 위해서 매단 화물을 흔들어
서는 안된다.
이동신크레인
▣ 화면에서 사용한 장비에 필요한 방호장치 종류 3가지를 쓰시오.
① 권과방지장치
② 과부하방지장치
③ 브레이크장치
tip) 산업안전기준에관한 규칙 제123조(방호장치의 조정)
▣ 화면의 동영상에서 사용된 장비 작업시 운전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.
① 자기판단에 의해 조작하지 말고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작업한다.
② 화물을 매단 채 운전석을 이탈하지 말아야 한다.
③ 작업이 끝나면 동력을 차단시키고 정지조치를 확실히 하여 둔다.
이동식크레인
▣ 화면과 같이 이동식 크레인을 작업하는 때에 사업주로서 작업시작 전 점검할 장치는?(3가지)
① 권과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
② 브레이크ㆍ클러치
③ 조정장치
④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
tip) 이동식 크레인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: ① 권과방지장치 그 밖의 경보장치 기능 ② 브레이크ㆍ클러치 및 조종장치의 기능 ③ 와이어로프가 통하고 있는 곳 및 작업장소의 지반상태
▣ 화면과 같이 이 작업자의 위험요인 3가지만 쓰시오
① 신호수의 불안전한 행동(보호장구 미착용, 화물의 이동경로상에 위치)
② 화물의 이동경로 설정이 불안전(이동경로상에 강구조물이 위치)
이동식크레인 낙하 비래
▣ 화면과 같이 이동식 크레인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여러 가지 위험 요인들이 있을 수 있으나 화물의 낙하ㆍ비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사전 점검 또는 조치 내용을 3가지만 쓰시오.
① 작업반경 내 관계근로자 이외의 자는 출입금지
② 와이어로프의 안전상태 점검
③ 훅의 해지장치 및 안전상태 점검
양
중용 와이어로프
▣ 동영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와이어 로프를 걸 때 양중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와 슬링 와이어의 매다는 각도는 얼마가 적당한가?
① 안전계수 : 5
② 매다는 각도 : 60도
tip) 산업안전기준에관한 규칙 제164조(와이어로프등의 안전계수) ② 화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하는 경우에는 5이상
tip) 슬링 각도가 60도를 초과하면 불안정하다.
▣ 화면에서 보여준 작업은 매달린 물체가 흔들리며 골조에 부딪쳐 위험하고,또한 신호 방법이 서로 맞지 않아 작업자 위로 자재가 낙하할 위험이 내재하고 있다. 이와 같은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3가지만 쓰시오.
① 보조(유도)로프로 흔들림을 방지한다.
② 무전기등을 사용하여 신호하거나 일정한 신호방법을 미리 정하여 둔다.
③ 슬링 와이어의 체결상태를 확인한다.
와이어로프점검
▣ 동영상은 와이어로프 점검작업을 하고 있다. 보기의 ( )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.
(1) 이음매가 있는 것
(2)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[스트랜드(strand)를 의미한다. 이하 같다]에서 끊어진 소선[素線, 필러 (pillar)선을 제외한다]의 수가 ( 10 )[%] 이상인 것
(3)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( 7 )[%]를 초과하는 것
(4) 꼬인 것
(5)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
tip)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167조 (이음매가 있는 와이어로프 등의 사용금지)
향타기 향발기 사용전 점검
▣ 화면에서 보여주고 있는 장비의 조립시 점검해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.
① 본체의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
② 권상용 와이어로프ㆍ드럼 및 도르래의 부착상태의 이상유무
③ 권상장치의 브레이크 및 쐐기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④ 권상기의 설치상태의 이상유무
⑤ 버팀의 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유무
tip)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51조(사용전 점검)
향탸기 향발기
▣ 항타기ㆍ항발기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의 안전율을 고려할 때 인양하고자 하는 말뚝의 하중이 1.5톤이라면 와이어로프의 절단 하중은 몇 톤 이상이어야 하는가?
① 5=X/1.5, X=5×1.5=7.5ton 이상
tip)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35조(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) 사업주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가 5이상이 아니면 이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.
tip) 안전계수 = 파괴강도(극한강도)/허용응력
▣ 항타기ㆍ항발기 작업시 충전전로에 근로자 감전위험 발생 우려가 있을 때 사업주로서 조치사항 3가지를 기술하시오.
① 당해 충전선로를 이설할 것
② 감전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방책을 설치할 것
③ 당해 충전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할 것
④ 제①항 내지 제③항에 해당하는 조치를 하는 것이 현저히 곤란할 때에는 감시인을
두고 작업을 감시하도록 할 것
▣ 화면은 콘크리트파일을 설치하기 위한 작업과정이다. 이때 항타기에 사용되는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를 고려할 때 입양하고자 하는 파일의 하중이 2톤이라면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절단하중은 몇 톤 이상이어야 하는가?
(1) 계산과정 : 안전계수=절단하중/하중,∴ 절단하중=안전계수×하중=5×2[톤]= 10[톤]
tip)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 제235조(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) 사업주는 항타기 또는 항발기의 권상용 와이어로프의 안전계수가 5이상이 아니면 이를 사용하여서는 아니된다.
(2) 항타기 권상장치의 드럼축과 권상장치로부터 첫 번째 도르래의 축과의 거리를 권상장
치의 드럼폭의 몇 배 이상으로 해야 하는가? 15배
▣ 항타기ㆍ항발기 작업시 안전작업 수칙 4가지를 쓰시오.
① 작업반경 내 근로자의 출입을 금지한다.
② 작업반경 내 지하매설물을 확인하고 작업한다.
③ 작업구간 내 가설울타리를 설치한다.
④ 작업구간에 인접한 고압전선이 있으면 방호조치 후에 작업한다.
⑤ 작업에 참여하는 근로자는 안전모, 안전화 등 개인보호구를 착용한다.
지게차 작업시작전 점검사항
▣ 동영상은 차량게 하역 운반 기계(지게차)로 운반 작업을 하고 있다.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 4가지를 쓰시오.
①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②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③ 바퀴의 이상유무
④ 전조등ㆍ후미등ㆍ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'기사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작업형 기계안전 기출문제 산업안전기사 (0) | 2018.05.02 |
---|---|
산업안전기사 추락등 재해사고 (0) | 2018.04.29 |
산업안전기사 요점정리 안전교육 심리 (0) | 2018.04.27 |
산업안전기사 원칙및 단계 요약 (0) | 2018.04.26 |
소음진동기사 용어 정리 (0) | 2018.04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