연삭기

지게차

▣ 화면은 봉강 연마 작업중 발생한 사고사례이다. 기인물은 무엇이며, 연마작업시 파편이나 칩의 비래에 의한 위험에 대비하기 위해 설치해야 하는 장치명을 쓰시오. 또 작업시 숫돌과 가공면과의 각도는 어느 범위가 적당한가?

(1) 기인물 : 탁상공구 연삭기

(2) 장치명 : 투명한 비산 방지판

(3) 각도 : 15도 ~ 30도

동영상은 지게차로 운반 작업을 하고 있다. 보기의 ( )에 알맞은 숫자를 쓰시오.

(1)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( 2 )배의 값(그 값이 4톤이 넘는 것에 대하여서는 4톤으 로 한다)의 등분포정하중에 견딜 수 있는 것일 것

(2)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( 16 )[㎝] 미만일 것

(3) 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좌석의 상면에서 헤드 가드의 상부틀의 하면까지의 높이가 ( 1 )[m] 이상일 것

(4) 운전자가 서서 조작하는 방식의 지게차에 있어서는 운전석의 바닥면에서 헤드가드의 상부틀의 하면까지의 높이가 ( 2 )[m] 이상일 것

▣ 화면은 지게차 수리 중 포크가 하강하여 재해가 발생한 사례이다.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.

(1) 영상에서와 같이 지게차의 포크가 올라가 있을 때 지게차를 점검할 때는 어떠한 조치 를 해야 하는가?

안전지주(안전블록)을 포크에 받쳐놓고 작업한다.

(2) 이 장비의 고장원인은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 중 어떤 내용을 확인하면 예방할 수 있 는가?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
 

▣ 화면을 보고 지게차 주행안전작업 사항 중 잘못된 내용을 4가지 쓰시오.(위험예지포인트)

① 전방의 시야 불충분으로 지게차에 의해 다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

② 물건을 과적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가려 다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

③ 물건을 불안정하게 적재하여 화물이 떨어져 다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

④ 다른 작업자가 작업통로에 나와서 작업을 하고 있어 지게차에 다칠 수 있다.

⑤ 난폭한 운전ㆍ과속으로 운전자 본인이 다치거나 다른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.

▣ 화면에서 이용한 지게차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

①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
②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
③ 바퀴의 이상유무

④ 전조등ㆍ후미등ㆍ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
▣ 화물의 낙하가 운전자에게 위험을 미칠 염려가 있을 경우, 이러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 위에 덮개를 설치하여야 한다.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? 헤드가드

▣ 동영상에 나타난 것처럼 지게차에 적재된 화물이 현저하게 시계를 방해할 경우 운전자의 조치를 3가지만 쓰시오

① 하차하여 주변의 안전을 확인한다.

② 유도자를 지정하여 지게차를 유도하든가 후진으로 서행한다.

③ 경적과 경광등을 사용한다.

 

▣ 동영상은 지게차로 운반 작업을 하고 있다. 지게차의 각각 안정도를 쓰시오.

(1) 하역작업시 전후 안정도 : 4% tip) 5[t]이상의 것은 3.5[%]

(2) 주행시 전후 안정도 : 18%

(3) 하역작업시 좌우안정도 : 6%

(4) 지게차가 5[㎞]의 속도로 주행시 좌우 안정도 : (15+1.1V)%=15+1.1×5=20.5%

 

컨베이어

▣ 동영상은 컨베이어 작업을 하고 있다.

(1) 화물의 낙하로 인해 근로자에게 위험이 미칠 때 낙하 위험 방지 조치 2가지

① 덮개 ② 울

 

(2) 컨베이어 작업시작 전 점검 사항 4가지

① 원동기 및 풀리기능의 이상유무

② 이탈 등의 방지장치기능의 이상유무

③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유무

④ 원동기ㆍ회전축ㆍ기어 및 풀리 등의 덮개 또는 울 등의 이상유무

 

롤러기

▣ 화면에서 인쇄 윤전기의 롤러의 직경이 300㎜이고 분당회전수는 60이다. 이 윤전기의 급정지장치를 작동하였더니 롤러 원주의 1/3회전 이전에 멈추었다. 급정지장치 성능은 안전한지 판단하고, 그 이유를 쓰시오.

(1) 판단 : 안전하다.

(2) 이유 : 원주속도가 이므로, 급정지거리는 1/2.5 이내이어야 한다.

▣ 화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기계의 운동형태에 따라 위험점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. 이 영상에서 나타난 위험점은 무엇이며, 발생되는 조건을 쓰시오.

(1) 위험점 : 물림점

(2) 발생조건 : 회전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맞물려 회전되어야 한다.

 

▣ 화면에서 인쇄윤전기에 설치한 방호장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윤전기 롤러의 표면원주속도를 구하려고 한다. 표면원주속도(m/min)를 구하는 공식을 쓰시오

(1) 공식 : 표면원주속도, D:롤러의 직경(㎜), N:회전수(rpm)

▣ 화면에서 표현된 기계에서 발생한 사고유형을 쓰고, 답한 용어의 정의를 쓰시오.

(1) 유형 : 협착

(2) 발생조건 : 물건에 끼워진 상태 또는 말려든 상태

 

프레스

▣ 화면은 프레스 기계의 재해 사례를 보여 주고 있다. 귀하가 안전관리자라면 이 크랭크프레스(핀 클러치)의 가장 적합한 방호장치를 쓰시오.(단, SPM 120미만이고, Stroke 40이상임.)

① 수인식 또는 손쳐내기식

▣ 화면과 같이 크랭크 프레스로 철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고 있다. 이 프레스가 작동 후 작업점까지의 도달시간이 0.6초 걸렸다면 양수기동식 방호장치의 설치거리는 최소 얼마가 되어야 하는가?

① 계산식 : D=1.6×Tm

② 답 : 1.6×600=960[㎜]

▣ 화면에서는 프레스 작업 중 작업자가 실수로 페달을 밟아 슬라이드가 하강하여 금형사이에 손이 낀 사례이다. 이러한 재해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(1)페달에는 무엇을 설치하고 (2)상형과 하형 사이의 간격을 얼마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?

(1) 설치장치 : (U자형)덮개

(2) 설치간격 : 8[㎜]

▣ 화면에 나타난 기계에 광전자식 안전장치를 설치할 때 이 안전장치의 급정지 시간이 5[㎳]였다면 광축의 설치거리를 계산하시오.

① 계산식 : D=1.6(Tl + Ts)

② 답 : 1.6×5=8[㎜] tip) 시간단위는 [ms], 이것은 1/1,000초이다.

▣ 화면의 동영상을 보면 작업자가 몸을 기울인 채 손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다가 실수로 페달을 밟아 손이 다치는 재해가 발생한 사례이다. 이러한 사고의 예방을 위해 조치하여야 할 사항을 2가지만 쓰시오.

① 이물질을 제거할 때에는 손으로 제거하는 것보다는 플라이어 등의 수공구를 이용한다

② 프레스를 일시 정지할 때에는 페달에 U자형 덮개를 씌운다.

▣ 화면은 크랭크 프레스로 철판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하고있다. 위험 예지 포인트를 3가지 적으시오

① 프레스 페달을 발로 밟아 프레스의 슬라이드가 작동해 손을 다친다.

② 금형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려다 손을 다친다.

③ 금형에 붙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려다 눈에 이물질이 들어가 눈을 다친다.

④ 주변정리가 되어 있지 않아 주변의 물건에 발이 걸려 넘어져 프레스 기계에 부딪친다.

⑤ 작업자의 실수로 슬라이드가 하강하여 작업자가 다친다.

▣ 이 동영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크랭크 프레스에는 급정지 기구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. 이 프레스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효한 방호장치를 3가지 쓰시오.

① 가드식(게이트가드식) ② 수인식 ③ 손쳐내기식 ④ 양수기동식

tip) 급정지 기구가 부착되어 있을 때의 방호장치 : 양수조작식, 감응식

▣ 화면에 나타난 프레스기에 금형을 설치할 때 점검 사항 3가지를 쓰시오

① 다이홀더와 펀치의 직각도, 생크홀과 펀치의 직각도

② 펀치와 다이의 평행도

③ 펀치와 볼스터면의 평행도

④ 다이와 볼스터의 평행도

 

양중기

▣ 동영상은 크레인 작업을 하고 있다. (1) 크레인 자체검사 주기와 (2) 자체 검사 후 서류보존기간을 쓰시오.

(1) 크레인 자체검사 주기 : 6개월에 1회 이상

(2) 서류 보존 기간 : 2년

▣ 화면은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변압기를 트럭에 하역작업 중 재해가 발생한 사례이다. 재해유형 및 화면상 재해원인 두가지를 쓰시오.

(1) 재해유형 : 낙하

(2) 재해원인 : ① 와이어로프를 호이스트 훅 끝에 불안하게 걸쳐놓았다.

② 보조로프를 사용하지 않았다.

③ 위험 반경 내에서 크레인 수신호를 실시하고 있다

 

목재가공용기계

▣ 화면은 둥근톱 작업시 자주 발생하는 사고 발생 사례이다. 이 작업시 필요한 안전 및 보조장치 종류 5가지를 쓰시오.

① 밀대 ② 직각정규 ③ 평행조정기 ④ 분할날 ⑤ 톱날덮개

▣ 화면에서와 같이 안전장치가 없는 둥근톱 기계에 고정식 접촉예방장치를 설치하고자 한다. 이 때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높이와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간격을 얼마로 조정하는가?

(1) 하단과 테이블 사이의 높이 : 최대 25[㎜]

(2) 하단과 가공재 사이의 간격 : 8[㎜] 이내

▣ 동영상은 작업자가 작업발판을 이용해 전동톱으로 목재 절단 작업을 하던 중 발판의 불균형으로 넘어지는 재해가 발생하였다. 가해물과 재해 발생 형태를 쓰시오.

(1) 가해물 : 바닥

(2) 재해 발생 형태 : 추락

 

와이어로프

▣ 화면은 형강에 걸린 줄걸이 와이어를 빼내고 있는 상황하에서 발생된 사고사례이다. 가해물은 무엇이며, 와이어를 빼기에 적합한 작업방식 두 가지를 쓰시오.

(1) 가해물 : 와이어로프

(2) 작업방식 :

① 지렛대를 와이어가 물려 있는 형강 사이에 넣어 형강이 무너져 내리지 않을 정도 로 들어올려 와이어를 빼내는 작업을 한다.

② 와이어를 빼기 위한 작업은 1인으로는 부적합하며 반드시 2인 이상이 지렛대를 동시에 넣어 들어올리는 작업을 한다.

+ Recent posts